WMS/출고(出庫), 출하(出荷)

출고(出庫), 출하(出荷)

VEGAS 2022. 6. 22. 11:33

출고(出庫)

창고(상품을 보관하고 있는 장소)에서 상품을 꺼내는 작업
* 피킹, 검품, 포장까지가 출고에 해당


출하(出荷)

상품을 자사 창고에서 주문처로 넘겨주는 과정
* 창고에서 꺼낸 상품을 고객에게 전달할 수 있는 형태로 포장되어 창고를 나오기까지의 흐름


DC

대규모 창고 공간을 가져 입고된 상품을 재고로 보관하고 오더가 들어오면 출하
일반적인 물류센터는 DC

DC의 과정


TC

입고된 상품을 장기간 보관하지 않고 바로 목적지로 출하

TC의 과정


출하의 흐름(出荷の流れ)

출하지시(데이터 등록)→재고할당→픽킹→출하검품→포장→발송

(出荷指示(データ取込み、登録)→在庫の引当→ピッキング→出荷検品→梱包→発送)


출하지시(데이터 등록)

온라인 판매 사이트나 수주 관리 시스템에서 수주한 데이터를 WMS(창고 관리 시스템)에 도입해 관리 화면에서 출하 지시 등록을 실시
★ 배송지시 형식 (일반적) : 통신판매 사업자, 제조사, 소매점 등

출하지시


재고 확보(在庫の引当)

WMS에 등록되어 있는 상품의 재고 정보를 참조하여 출하 지시에 근거한 재고를 충당
수주한 단계에서 창고의 재고를 확보하기 때문에 다른 주문에 의한 중복 출하 지시를 방지

 

재고할당

★ 재고확보 종류
① 선입선출 (FIFO: First-In First-Out)
② 선입후출 (LIFO : Last-In First-Out)
③ 면 정렬(面揃え)
④ 빼서 냅둠(取り置き)
⑤ 있는 대로 출하(あるだけ出荷(残管理あり、なし))
⑥ 로트 정렬(ロット揃え)

 

① 선입선출 (FIFO: First-In First-Out)

먼저 구매한 상품 먼저 출고 = 제조일자가 오래된 상품부터 순차 출고
보관하고 있는 상품의 품질이 장기 보관에 의해 망가지는 것을 방지

 

먼저 넣은 것을 먼저 뺀다

★ 장점 :
 ① 상품의 손상을 방지하고 불량 재고 발생 방지
 ② 창고 내 보관 공간 정리 정돈

 

★ 단점 :
 ① 종업원 및 관리자의 작업량 증가

 

② 선입후출 (LIFO : Last-In First-Out)

상품을 보관할 때 새로운 상품을 앞에 두고 보관하고 오래된 상품은 안으로 이동시켜
주문이 들어왔을 때 새 상품에서 꺼내는 방법

 

★ 장점 :
 ① 종업원이나 관리자의 작업량이 적다
 ② 물가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을 때 회사의 재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 단점 :
 ① 장기체류로 인한 품질 저하

 

③ 면정렬(面揃え)

주문 상품의 재고가 갖추어지지 않으면 배송되지 않는다

(전표 내 모든 명세가 완전히 갖추어지지 않으면 재고 확보를 하지 않는다)
* 주로 B2C에서 사용되는 방법이다

물건 개수가 갖추어 지지 않으면 출하 하지 않는다

④ 빼서 냅둠(取り置き)

수주를 받은 것에 대해 일부 재고가 없으면 재고가 없는 물건이 입고될 때까지 있는 것의 재고 확보
전표 내 명세에 대하여 재고가 있는 만큼은 충당하되, 전 명세분이 갖추어질 때까지는 피킹하지 않는다

 

⑤ 있는 대로 출하(あるだけ出荷(残管理あり、なし))

수주를 받은 것에 대해 일부 재고가 없으면 있는 것만 배송
전표 내 명세에 대해 재고가 있는 만큼 재고확보~출하완료 등록까지 실시
결품분(출하잔액)의 전표를 남길 것인지, 완료로 할 것인지도 설정 가능
* 주로 B2B에서 사용

 

 

⑥ 로트 정렬(ロット揃え)

★ 로트 정렬의 경우
⇒ C로케이션

★ 로트 정렬이 아닌 경우
⇒ A로케이션 100개, B로케이션 50개

 


피킹(ピッキング)

출하 지시된 상품을 창고 안에서 필요한 수만큼 찾아오는 작업

 

★ 피킹 종류
① 오더 피킹(オーダーピッキング)
② 토탈 피킹(トータルピッキング)
③ 멀티 피킹(マルチピッキング)

 

 

① 오더피킹(オーダーピッキング)

 

발주된 오더 단위로 피킹을 한다 (摘み取り方式)

 

★ 단점 :
 ① 오더마다 피킹 영역에 가서 피킹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품을 찾는 시간이 많이 걸린다.


② 토탈 피킹(トータルピッキング)

 

복수의 오더를 정리해 피킹하고, 그 후에 출하처별로 분류한다 (씨뿌리기 방식)

 

★ 장점 :
 ① 여러 오더를 한꺼번에 처리하기 때문에 창고 내 이동 최소화 가능
 ② 피킹하러 가는 시간이 오더 피킹에 비하면 적다

 

★ 단점 :
 ① 피킹하고 온 다음에 상품을 나누기 위한 공간 필요


③ 멀티 피킹(マルチピッキング)

 

여러 오더를 한꺼번에 피킹하면서 동시에 분류한다

 

★ 장점 :
 ① 창고 내 이동 최소화
 ② 토탈피킹과 다르게 분류를 하면서 피킹을 실시해 나가기 때문에 작업 효율 향상


분류(仕分け)

창고에서 가져온 상품(피킹한 것)을 분류하는 작업

★ 구분 종류
① 種まき方式
② 摘み取り

 

 

① 種まき方式

베이스는 상품이므로, 가져 온 한가지 종류의 상품을 전부 분배하고 나서 다음의 상품을 분배한다.


② 摘み取り

베이스는 오더이기 때문에, 피킹해 온 것을 오더 마다 나눈다


출하검품(出荷検品)

  • 피킹해 온 상품과 수가 맞는지
  • 상품에 오염이나 파손이 없는지
  • 품목 리스트대로 세트 구성이나 포장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포장(梱包)

상품을 지정된 상자나 재료로 포장하는 작업


발송(発送)

포장한 상품을 운송업자에게 실어 고객에게 보내는 작업
우체국 등 다른 업체에 한꺼번에 넘기는 경우나 기업이 직접 배송하는 경우도 있다